공무원 : 부업(겸직)이 가능한가요?
1편 - 공무원 농업 겸직, 가능한가? 허용 범위와 절차
1. 농업 겸직 수익이 얼마까지면 신고 안 해도 될까?
결론부터 말하면 공무원에 대해서는 ‘수익이 얼마까지면 무신고 가능’이라는 기준은 없다입니다.
심지어 소액이라도 수익이 발생하면 ‘영리활동’으로 간주되어 겸직허가 대상이 됩니다.
다만, 세법상 신고 의무 기준은 있습니다.
- 연간 농업 수입이 10만원 이하이고, 부수적인 경우 일부 면세 가능
- 그러나 겸직허가 여부와 세무 신고 기준은 별개이므로 혼동 금지
2. 수익 신고 방법
농업 소득은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분류됩니다.
- 소규모·부정기적 → 기타소득
- 지속적·규모 있는 농사 → 사업소득
신고 시 농업경영체 등록증과 거래내역, 세금계산서, 현금영수증 등을 준비하면 좋습니다.
💡 세금을 줄이는 합법적인 절세 방법이 있습니다.
실제로 많은 공무원들이 이 방법으로 수익을 지키고 있습니다.
3. 안전한 수익 범위와 주의점
- 허가받은 농업 활동이라도 근무시간 외 진행이 원칙
- 직무와 이해충돌이 없어야 함
- 수익이 커질수록 세무서·감사원의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음
4. 겸직 위반 적발 사례
- 사례 1: 겸직허가 없이 농산물 온라인 판매 → 정직 3개월
- 사례 2: 허가받았지만 근무시간 중 농장 근무 → 감봉 1개월
📌 참고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퇴직 예정 공무원을 위한 틈새 고수익 자격증 2탄 : 에너지·치유·의전 분야 핵심 3선 (NO 행정사, 사회복지사) (2) | 2025.08.16 |
---|---|
퇴직 예정 공무원이라면 놓쳐서는 안 될 틈새 고수익 자격증 1탄 : 아무도 모르는 경쟁 적고 돈 되는 분야 4 (no 공인중개사,주택관리사,경비지도사) (3) | 2025.08.16 |
2편 : 공무원 농업경영체 수익성 분석과 놓치면 안되는 주의사항 (3) | 2025.08.15 |
1편: 공무원 농업경영체 등록, 가능할까? 반드시 알아야 하는 허가 절차와 허용 범위 (2) | 2025.08.15 |
1편 - 공무원 농업 겸직, 가능한가? 허용 범위와 절차 (2) | 2025.08.14 |
공무원 : 부업(겸직)이 가능한가요? (0) | 2025.03.25 |